시간복잡도란? 알고리즘 선택의 기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'연산 횟수' 일반적으로 수행시간은 1억 번의 연산을 1초의 시간으로 간주하여 예측 ex) 시간제한 2초라고 가정한다면 2억 번의 연산 안에 도출 시간 복잡도 유형 빅-오메가(Ω(n)) : 최선일 때(be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-세타(Θ(n)) : 보통일 때(average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-오(O(n)) : 최악일 때(wor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public class timeComplexityEx0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findNumber = (int)(Math.random() * 100); for(int ..